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3XN 타일링
- 구슬탈출
- dp
- 백준
- ESP32
- 풀이
- 적두트리
- REACT
- 메모리계층
- 2623
- RBT
- 테스트주도개발
- 자료구조
- mediastream
- 1796
- 페이지교체알고리즘
- 9996
- 구현
- LOLIN D32
- Vite 사용 이유
- 데이터 링크 계층
- TDD
- tfjs
- OpenVidu
- c++
- WebRTC란
- stl
- 백준 2133
- 13459
- TDD란?
- Today
- Total
그냥 블로그
[알고리즘] 플로이드 - 워셜(Floyd-Warshall) 본문
11404번: 플로이드
첫째 줄에 도시의 개수 n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버스의 개수 m이 주어진다. 그리고 셋째 줄부터 m+2줄까지 다음과 같은 버스의 정보가 주어진다. 먼저 처음에는 그 버스의 출발 도시의 번호가
www.acmicpc.net
Floyd-Warshall은 최단 경로 알고리즘의 일종이다. (ft. Dijkstra, Kruskal, Prim)
- 시간 복잡도는 O(N^3)이 걸리기 때문에, N의 값이 작을 때만 사용하도록 한다.
- 다른 알고리즘과는 다르게 음의 값도 사용할 수 있다.
- 모든 노드의 최단 경로를 찾을 수 있다. ( 다른건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까지...)
최단 경로 알고리즘
플로이드 - 워셜 (Floyd-Warshall) 알고리즘
=> 다익스트라는 하나의 정점 ~ 다른 모든 정점까지 거리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라면, 플로이드 워셜은 한 번 실행하여 모든 노드 간 최단 경로를 구할 수 있다.
* 플로이드 - 워셜 알고리즘은 다익스트라와 다르게 음의 간선도 사용할 수 있음
동작 과정
모든 노드 간 최단거리를 구해야 하므로 2차원 인접 행렬을 구성한다. 알고리즘은 여러 라운드로 구성되며 각 경로에서 새로운 중간 노드로 사용할 수 있는 노드를 선택하고, 더 짧은 길이를 선택해 줄이는 과정을 반복한다.
위와 같은 그래프가 있을 때, 2차원 행렬에 인접행렬을 나타낸다.
0 | 5 | INF | 9 | 1 |
5 | 0 | 2 | INF | INF |
INF | 2 | 0 | 7 | INF |
9 | INF | 7 | 0 | 2 |
1 | INF | INF | 2 | 0 |
1. 1번 노드를 새로운 중간 노드로 설정한다.
그래프는 1~5번 노드가 있어 알고리즘은 총 5라운드의 과정을 거친다.
=> 모든 노드들을 중간 노드로 선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1번 노드를 중간노드로 선정할 경우, 2->4의 길은 원래 없었지만 2-1-4가 가능해진다.
(갱신 된 인접 행렬은 노란색)
0 | 5 | INF | 9 | 1 |
5 | 0 | 2 | 14 | 6 |
INF | 2 | 0 | 7 | INF |
9 | 14 | 7 | 0 | 2 |
1 | 6 | INF | 2 | 0 |
2. 2번 노드를 새로운 중간 노드로 설정
1번을 반복한다.
구현
1. adj에 저장된 인접 행렬의 값을 활용해 최단 거리 배열인 dist 배열을 초기화 한다.
for(int i=1; i<=N; i++){
for(int j=1; j<=N; j++){
// i=j인경우 = 0
if(i==j) dist[i][j] = 0;
// 인접 행렬 값이 있으면 갱신
else if(adj[i][j]) dist[i][j] = adj[i][j];
else dist[i][j] = INF;
}
}
2. 각 라운드 별로 중간 노드가 될 노드 번호를 for 문 가장 바깥의 k로 삼는다. 내부 이중 for문에는 i,j를 통해 각 노드별 모든 거리를 살펴보며 k를 중간 노드로 삼을 때와 아닐 때의 값을 비교해 더 작은 값으로 업데이트 한다.
//중간 노드를 선택하는 for 문
for(int k=1; k<=N; k++){
//전 노드 선택
for(int i=1; i<=N; i++){
// 다음 노드 선택
for(int j=1; j<=n; j++){
// i->j까지 가는 방법 = min(원래 있던, 중간노드 k를 거쳐 가는 방법)
dist[i][j] = min(dist[i][j], dist[i][k] + dist[k][j]);
}
}
}
'C++ > 알고리즘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레드 블랙 트리(RedBlackTree) (0) | 2024.02.22 |
---|---|
[자료구조]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 (0) | 2024.02.22 |
[자료 구조] 세그먼트 트리 (1) | 2024.02.11 |
next_permutation 순열 조합 (0) | 2024.01.23 |
[C++/최단경로] 1. Dijkstra 다익스트라 (1) | 2023.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