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블로그

[Git] branch 명령어 본문

Front-End/이론

[Git] branch 명령어

코딩하는 공대생 2024. 5. 10. 12:35
반응형

1. 하위 branch 생성

develop/feature 생성 시

git branch [생성할 branch] [상위 branch]


-> 이게 좀 헷갈렸던게, devlop 에서 feature를 만들면, develop/feature 이런식으로 이름이 지어지는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

나도 이런식으로 되는 줄 알았는데 이건 걍 이름만 fature/하위 이름으로 한 거였음. 

+ feature 브랜치를 생성하면, feature/하위 이런식의 브랜치는 만들 수 없다. 

 

2. 생성한 branch 원격 저장소로 올리기

git push origin [생성한 branch 이름]

 

아래 명령어를 통해 확인 가능 

git branch -a // 모든 branch (로컬 + 원격 저장소)
git branch -r // 원격 저장소에 있는 branch만 보기

 

3. 원격 저장소 branch를 로컬로 반영 

 git fetch --prune

 

 

4. branch 변경 시 push하지 않는 상황

git stash

내가 자주 사용하던 건데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stash 영역으로 변경된 코드가 저장된다. 

다시 꺼내 쓸 수도 있고 아예 지워버릴 수도 있다.

 

+ github에선 Insights/Network 목록에서 내 commit graph를 확인할 수 있는데, 커밋하면 잘 갈라졌는 지도 확인 가능하다. 

 

 

 

기존에 아는데로 만들었는데 아닌 것 같아서 많이 헤매다 정리가 되었따.... 

 

5. 원격 저장소 branch 바로 삭제

git push origin --delete <brnach_n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