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Vite 사용 이유
- 백준
- OpenVidu
- c++
- 백준 2133
- 구슬탈출
- 구현
- 1796
- dp
- RBT
- ESP32
- TDD란?
- 페이지교체알고리즘
- TDD
- 적두트리
- REACT
- 데이터 링크 계층
- 테스트주도개발
- tfjs
- WebRTC란
- 자료구조
- 9996
- 13459
- stl
- 2623
- 3XN 타일링
- LOLIN D32
- 메모리계층
- 풀이
- mediastream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04)
그냥 블로그

💡 정리 요약 1. 비동기와 멀티스레딩 차이 지난번에, work-thread를 사용해보면서 비동기랑 멀티 스레딩이 그래서 어떤 차이인지가 궁금했었다. 뭔가 비슷한 것 같아서.... 그래서 차이를 한번 알아보쟈 :) 비동기 프로그래밍 여러 일이 동시에 발생한다. 프로그램은 실행시간이 긴 함수를 실행할 때, 함수의 실행 흐름을 막지(block) 않고, 계속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비동기 시스템에서는, 추가적인 스레드를 시작하여 해결한다. 단일 스레드 접근(single-thread approach)의 또 다른 예로, OS에서 파일을 가져와서 연산을 하는 것이 있다. 비동기 프로그램 접근 방식은, 실행속도가 느린 함수를 하나 실행하고, 그 동안 추가적인 콜백(callback) 함수들을 실행하는 것이다.멀..

2024.07.29 - [Front-End/JavaScript] - [JS] 스레드와 병렬 처리/ 비동기 처리 문법 / Promise / Async await 💡 요약 정리- event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특정 행위를 의미한다. - eventHandler란 event가 발생하면 화면을 조작하거나 무언가를 조작하는 함수 - eventListener란 이벤트에 응답하는 js의 내부 함수. => handler는 단순히 이벤트 발생 시 무언가를 해라! 라고 정의되어 있는 함수이고, eventListener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보고 있다가 발생하면 동작하는 함수인 것 같다. 그래서 리스너에서 이벤트가 감지되면 핸들러를 실행시키는 것 ㅇㅅㅇ!! 이벤트 ( event ) 웹 브라우저에서 DOM 요소..

데드락 ( 교착 상태 ) 해결 방법 기억 안나서 공부! 이벤트 리스너, 이벤트 루프, JS 단일 스레드 (JS 및 NODE의 동작 과정) 발행-구독(Publisheer-Subscriber) 중재자 패턴 (Mediator Pattern) 발행-구독(영어 : Publish-Subscribe) 디자인 패턴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턴의 하나로, 메시지 발행 컴포넌트(발행자)와 메시지 수신 컴포넌트(구독자) 사이 결합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된다. 비동기 메시징 패러다임 -> 바로 연결된게 아니기 때문에 ~~ 이 패턴의 핵심은 발행자가 메시지를 누구에게 구독자는 어떤 발행자로부터 메시지를 받는지 알 필요가 없다는 데 있다. 즉, 발행자와 구독자 사이에 직접적인 연결 고리가 없어, 시스템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향상시..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된다. 1. 명령형 프로그래밍절차지향,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 여기 속함.2. 선언형 프로그래밍함수형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순수 함수를 조합하고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방식. ( 클로저, 하스켈, 리스프 ) 함수를 타입으로 지정하거나, 인자값으로 넘기거나, 리턴값으로 받을 수 있다. ( 함수를 1급 시민, 1급 객체로 관리 ) => 마치 함수도 객체처럽 변수나 함수의 인자, 리터럴하게 다룰 수 있다는 것. 대입문을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래밍, 작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함수를 작성한다. -> 변수에 값을 할당하지 않는다// 1 ~ 10까지의 값이 i에 할당된다for(int i = 1 ; i ex) 첫 번째 인자로 몇까지 iteration을 돌 것인가, 두 번쨰 ..

쓴거 위주로 정리. /^문자열의 시작을 의미한다. ( 없어도 됨 ) ex) /^g.*/ -> 맨 앞 시작이 g로 시작.$/문자열의 끝을 의미한다. (없어도 됨) x{n} x 문자가 n번 이상 반복됨을 의미한다.x+반복을 표현하며 x문자가 한번 이상 반복됨. ex) \w+ : 문자, 숫자, _ 가 모두 매칭 된다. .*👍 모든 문자열을 포괄./g대상 문자열 내에서 패턴이 있는지 계속 검사함. 정규식이 끝나는 자리에 써준다 ex) /g.*/g : 문자 내부에 있는 모든 g를 검사 \w알파멧, 숫자, _ 중 하나를 의미. 단어를 의미하는건 아니고 문자 하나만 x|yx 또는 y\특수 문자 특수문자 사용 시에는 앞에 \를 붙여준다. ex) \/ : / 슬래스 표현 메서드 Regex.test(string..
사용한 정규 표현식 정리 단위 테스트 소스 코드 단위의 자동화된 테스트 코드, 함수 또는 클래스의 한 줄. 두가지 유형이 있다.사교적 단위 테스트 ( 종속성이 있는 단위 ) 솔리터리 유닛 테스트 ( 종속성이 없는 단위) 프로그램의 개별 부분이 예상대로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JestBy ensuring your tests have unique global state, Jest can reliably run tests in parallel. To make things quick, Jest runs previously failed tests first and re-organizes runs based on how long test files take.jestjs.io Jest *.test.j..